-제2회 ‘국제 어린이 성교육의 날’ 맞아 조기 성교육 캠페인-
인류의 창조자 우주인 ‘엘로힘’의 메시지를 전하는 국제 라엘리안 무브먼트(IRM)는 ‘국제 어린이 권리의 날’인 11월 20일을 기해 제2회 ‘국제 어린이 성교육의 날’ 캠페인을 전개한다.
IRM은 유네스코, 세계보건기구(WHO), 유엔인구기금(UNFPA) 등 국제기구의 전문가들이 작성한 연구보고서들에서 권고된 대로 어린이의 자위행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조기 성교육을 실행하도록 세계 각국 정부에 촉구할 예정이다.
“이러한 보고서들에 정의되어 있는 종합 성교육(CSE)은 라엘리안 무브먼트의 정신적 지도자인 예언자 라엘이 40여년 동안 가르쳐온 것으로, 그것은 그가 지구 상의 모든 생명체들을 창조한 외계문명인들인 ‘엘로힘(Elohim)’으로부터 받은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다”고 ‘어린이 성교육의 날’ 대변인이자 라엘리안 가이드인 Clemence Linard는 설명한다. “이 캠페인의 목적은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각 연령대와 문화에 적합한 성교육을 제공해 주고 또한 WHO 보고서에 정의된 대로 성적 건강과 관련해 쾌감, 성취 및 웰빙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성에 대한 두려움과 죄악감 제거 및 성폭행 예방은 라엘 가르침의 일부이며, 라엘리안 철학에 따르면 조기 성교육은 젊은이들에게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성폭력과 성학대의 감소, 원하지 않는 임신, 낙태 및 성병 확산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Linard 대변인은 역설한다.
“WHO 보고서는 성과 쾌감에 대해 죄악감과 두려움을 주입하는 것은 기독교의 큰 특징이라고 적시하고 있다. 반면, 조기 성교육은 어린이들로 하여금 자신의 한계와 마땅히 받아야 할 존중에 대해 배우게 할 수 있으며, 이는 그 무엇보다도 성학대를 예방하는 가장 강력한 수단이 될 수 있다”고 Linard는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무신론이 우세하고 또 성교육 교과과정의 모범으로 꼽히는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에서는 성폭력 범죄율이 낮게 나타난다.”
Linard 대변인은 또한, 2009년 유네스코가 기독교 로비스트들의 압력에 굴복해 보고서 중 일부, 특히 5세부터 자위행위에 관해 가르쳐야 한다는 부분을 삭제했음을 강조했다. “퇴행적 종교의 압력에 의해 과학보고서 내용이 삭제된 것은 너무나 터무니없는 일이다.”
지난해 라엘리안 무브먼트는 어린이 성교육에 관한 2009년 유네스코 보고서에서 전문가들이 권고한 어린이 조기 성교육의 시행을 촉구하기 위해 최초의 ‘국제 어린이 성교육의 날’을 선포하고 성교육 캠페인을 개시했는데, 이는 그와 같은 보고서 검열을 비난하며 유네스코 성교육 보고서를 전문가들의 연구보고서에 따라 재편집할 것을 요구함과 함께 이러한 기본 성교육 지침들의 이행을 각국 정부에 촉구하고 또한 사람들에게 조기 성교육의 이점들을 설명함으로써 보수주의자들의 반발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한편, 2012년 유네스코가 펴낸 ‘아태지역의 성교육 시행 및 확대를 위한 정책 및 전략 조사보고서’(A Review of Policies and Strategies to Implement and Scale Up Sexuality Education in Asia and the Pacific= http://unesdoc.unesco.org/images/0021/002150/215091e.pdf)에 따르면 한국은 국가 차원에서 제대로 된 아동 성교육 전략과 실행 계획, 교육이 전무하다시피 하는 등 조사 대상 28개국 가운데 거의 최하위 수준을 맴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기 성교육 지지 서명 사이트 http://www.change.org/p/the-governments-of-all-countries-in-favour-of-sex-education-from-childhood
※참고자료 *UNESCO(2009). International Technical Guidance on Sexuality Education : An evidence- informed approach for schools teachers and health educators. http://unesdoc.unesco.org/images/0018/001832/183281e.pdf <http://unesdoc.unesco.org/images/0018/001832/183281e.pdf>
*UNESCO(2015). Emerging Evidence, Lessons and Practice in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a global review. http://unesdoc.unesco.org/images/0024/002431/243106e.pdf <http://unesdoc.unesco.org/images/0024/002431/243106e.pdf>
*UNFPA(2014). UNFPA Operational Guidance for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 A Focus on Human Rights and Gender. www.unfpa.org/sites/default/files/pub-pdf/UNFPA_OperationalGuidance_WEB3.pdf <http://www.unfpa.org/sites/default/files/pub-pdf/UNFPA_OperationalGuidance_WEB3.pdf>
*UNFPA(2015). The Evaluation of Comprehensive Sexuality Education Programmes : A Focus on the Gender and Empowerment Outcomes. www.unfpa.org/sites/default/files/pub-pdf/UNFPAEvaluationWEB4.pdf <https://www.unfpa.org/sites/default/files/pub-pdf/UNFPAEvaluationWEB4.pdf>
*World Health Organisation(2010). Standards for Sexuality Education in Europe. www.oif.ac.at/fileadmin/OEIF/andere_Publikationen/WHO_BZgA_Standards.pdf <http://www.oif.ac.at/fileadmin/OEIF/andere_Publikationen/WHO_BZgA_Standards.pd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