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생명복제와 엘로힘의 메세지 <생명복제와 엘로힘의 메시지> [당신의 이마에 작은 주사를 놓게 해주세요.] ……또 다시 내 눈 앞에서 하나의 존재가 형태를 갖추기 시작했다. 피부가 근육을 덥기 시작할 때 나는 또 하나의 내가 서서히 모습을 갖추고 있는 것을 보았다. 장치로부터 나온 존재는 나 자신의 완전한 복제였다. 야훼.. 첨단의과학 2007.01.27
[스크랩] 핵의 발견-(지식의 원전에서 발췌함) 핵의 발견-C. P. 스노 (지식의 원전-존 캐리, 바다출판사) (설명-뉴질랜드의 일용직 잡부의 아들로 태어난 어니스트 라더퍼드는(1871-1937)는 장학생으로 대학을 마친 뒤 영국으로 건너가 케임브리지 대학의 톰슨교수 밑에서 연구를 시작했다. 그의 유명한 금박실험은 그가 맨체스터 대학의 교수로 재직하.. 첨단의과학 2007.01.27
[스크랩] 호흡이 곧 생명이다 명상과 복식호흡의 필요성에 대하여 우리 몸은 난로이다. 36.5도의 따뜻한 난로이다. 100조개의 세포라는 아주 작은 난로로 이루어진 것이 우리 몸이다. 우리 몸을 이루는 세포는 아주 작다. 그래 대부분의 세포는 볼 수도 없고 만질 수도 없다. 이 작은 곳에 핵, 염색체, 리보솜, 미토콘드리아, 소포체, .. 첨단의과학 2007.01.27
[스크랩] 생명은 시리우스에서 왔다(엘로힘 행성에 대하여) 생명은 시리우스에서 왔다 (엘로힘의 행성에 대하여) 인간의 기원과 본질을 밝히는 위대한 책이 있다. 그 책 우주인의 메시지에 창조자들의 행성을 짐작할 수 있는 몇 문장이 있다. 그 문장을 가지고 여행을 떠나보자. “우리들의 행성의 위치는 대략 1광년 거리입니다.” “최초의 과학자들은 지구와 .. 첨단의과학 2007.01.27
[스크랩] (만화)줄기세포사태와 원천기술의 진실 클릭 하세요...인테리어가 뭔지... 에고 난 모르겠다. 어느쪽 이야기가 맞는건진... 하지만 진실은 꼭 밝혀지게돼있으니까... 첨단의과학 2007.01.27
[스크랩] 지성과 과학에 도움이 될 만한 책들 약간의 책들을 추천합니다. 추천은 주관적이며 저자와 출판사를 아는 책들은 표시를 했습니다. #우주인의 메시지-라엘, 메신저 인간의 근본과 지성에 대해 두말할 필요없는 최고의 책입니다. #논어-김학주옮김, 서울대출판부 인간으로서 어떻게 살아야 하며 어디에 뜻을 두어야 하는지를 행동으로 보.. 첨단의과학 2007.01.27
[스크랩] [속시원히]마음의 정체는 도대체 뭡니까? 나는 아주 아주 피곤하다. 아침에 일찍 일어날 필요가 없는 일요일이다. 늦게 밥 먹어도 늦게 일어나 세수 안해도 방귀를 뀌어가며 언제까지 자도 아무도 나무라지도 방문을 노크하지도 않는다. 그러나 해는 중천....... 창문은 밝디 밝아 일어나지 않을 수 없다. 이 때............ 나는 내 마음을 순간 내.. 첨단의과학 2007.01.27
[스크랩] [그래픽 뉴스 | 과학] 화성의 로봇, 아직 살아있다 (참고) [그래픽 뉴스 | 과학] 화성의 로봇, 아직 살아있다 화성에는 두 명의 연로한 지질학자가 있다. 한 소녀가 스피릿(Spirit)과 오퍼투니티(Opportunity)라고 이름 붙인 쌍둥이 로봇이 바로 그들이다. 2004년 1월 이들이 화성에 내렸을 때 예상했던 수명은 화성시간으로 불과 90일(화성의 하루는 지구보다 40분이 길.. 첨단의과학 2007.01.24
[스크랩] `다빈치`의 위대한 발명품 / 모나리자를 뛰어넘는 눈부신 업적들 **다빈치의 위대한 발명품 / 모나리자를 뛰어넘는 눈부신 업적들 ** 스푸마토 기법의 오묘한 색감만큼이나 신비와 미스터리 인물로 우리에게 다가오는 다 빈치. 그가 예술가이기 이전에 뛰어난 과학자였음은 익히 잘 알려진 바이죠. 하지만 그의 노트 속의 발명품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모습인지 어떻.. 첨단의과학 2007.01.17
[스크랩] 피라미드에 콘크리트 벽돌이 쓰였다? 로마보다 2500년 앞선 이집트 콘크리트 기술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잘 알려진 이집트의 피라미드. 그런데 이 피라미드에 인공적으로 만든 콘크리트 벽돌이 쓰였다는 주장이... 한국 첫 우주인 ‘18개 미션’을 수행하라 과학기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우주인임무개발위원회를 가동해 전.. 첨단의과학 2006.12.24